Bae

[SQLD] 엔터티(Entity) 본문

SQL

[SQLD] 엔터티(Entity)

Bae:) 2022. 2. 21. 09:00

엔터티의 개념

- 명사, 업무상 관리가 필요한 관심사, 저장이 되기 위한 어떤 것(Thing)

-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집합적인 것(Thing)

- 엔터티는 그 집합에 속하는 개체들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속성(Attribute)를 가짐(공통 속성, 개별 속성)

 

ㅁ 엔터티와 인스턴스에 대한 내용과 표기법

- 엔터티는 대부분 사각형으로 표현

- 엔터티-인스턴스 ERD

  엔터티는 인스턴스의 집합

엔터티-인스턴스 ERD

- 엔터티-인스턴스의 예

엔터티 인스턴스
과목 수학
영어
강사 이춘식
조시형
사건 2010-001
2010-002

 

ㅁ 엔터티의 특징

1)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

  시스템 구축 대상인 해당업무에서 그 엔터티를 필요로 하는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

  업무영역 내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는지를 먼저 판단하는 것이 중요

2) 식별이 가능해야 함

  인스턴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유일한 식별자가 존재해야 함

3) 인스턴스의 집합

 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가 있어야 함

  인스턴스가 한 개 밖에 없는 회사, 병원 엔터티는 집합이 아니므로 엔터티 성립이 안됨

엔터티 특성-인스턴스 수

4) 업무프로세스에 의해 이용

  업무프로세스(Business Process)가 그 엔터티를 반드시 이용해야 함

  업무 프로세스에 의해 이용되지 않는 엔터티는 그 업무의 엔터티가 아님

* 고립된 엔터티의 경우는 엔터티를 제거하거나 아니면 누락된 프로세스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해당 프로세스를 추가해야 함

엔터티 특성-프로세스 존재

5) 속성을 포함

 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오브젝트는 엔터티가 될 수 없음

  관계엔터티(Associative Entity)의 경우는 주식별자 속성만 가지고 있어도 엔터티로 인정

엔터티 특성-속성의 존재

6) 관계의 존재

  엔터티는 다른 엔터티와 최소 한 개 이상의 관계가 존재해야 한다

 

ㅁ 엔터티의 분류

1) 유무형에 따른 분류

- 유형 엔터티(Tangible Entity): 물리적 형태가 있고 지속적으로 활용되는 엔터티

  예) 사원, 물품, 강사 등

- 개념 엔터티(Conceptual Entity): 물리적 형태가 없는 엔터티

  예) 조직, 보험 상품 등

- 사건 엔터티(Event Entity):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엔터티
  예) 주문, 청구 미납 등

2) 발생시점에 따른 분류

- 기본엔터티(Fundamental Entity, Key Entity): 원래 존재하는 정보로서 다른 엔터티와 관계에 의해 생성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생성, 다른 엔터티로부터 주식별자를 상속받지 않고 자신의 고유한 주식별자를 가짐

  예) 사원, 부서, 고객, 상품, 자재 등

- 중심엔터티(Main Entity): 기본엔터티로부터 발생, 그 업무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

  예) 계약, 사고, 예금원장, 청구, 주문, 매출 등

- 행위엔터티(Active Entity): 두 개 이상의 부모엔터티로부터 발생,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실행하면서 생성되는 엔터티, 지속적으로 정보가 추가되고 변경되어 데이터 양이 가장 많음

  예) 주문목록, 사원변경이력 등

 

ㅁ 엔터티의 명명

- 업무 목적에 따라 생성되는 자연스러운 이름을 부여

- 명명규칙: 현업업무에서 사용하는 용어, 약어 지양, 단수 명사, 유일성 보장, 명확성

 

[출처] Sql 전문가 가이드

Comments